반응형 Hash Table Python1 Hash Table과 Collision [ Hash Table ] 해쉬는 중복이 안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만들어진다. 그래서 어떠한 값이 해쉬로 만들어질 때는 일반적으로 중복이 없다. 다만 기술이 발전하면서 연산 속도가 높아지는 과정을 통해 과거에 안전하다는 해쉬들도 깨지고 있다. MD5가 대표적인 예로 1996년에 collision 문제가 지적되었고 2005년 Birthday Attack으로 안전하지 않은 것이 증명되었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서 해쉬는 키값을 통해 중복되지 않는 해쉬를 만들어서 다른 어떤 것들과 함께 있어도 구별이 되어야 한다. 그럼 값들로 이루어진 값을 가지고 있다면 검색에서 엄청나게 빠른 속도를 보여줄 것이다. 이런 기술은 암호화폐로 이어졌고 역시 목표는 중복이 없는 것이다. 해쉬 테이블(Hash Table)은 해쉬 .. 2021. 4. 24. 이전 1 다음 반응형